한국프로축구선수협회가 K리그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잔디 상태 개선의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하고 나섰다. 선수협은 4일, 최근 K리그 경기에서 심각하게 대두된 열악한 축구장 잔디 상태에 대한 우려를 공식적으로 전하며, “잔디 품질이 과도하게 손상된 상태에서 경기를 진행하면 선수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특히, 선수협은 “국제대회에서 한국 클럽과 국가대표팀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경기 환경의 개선이 필수적”이라며, 잔디 상태가 선수들의 부상 위험성을 높이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문제는 3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FC서울과 김천 상무의 K리그1 2025 3라운드 경기에서도 드러났다. 이날 경기에서 서울의 공격수 린가드는 방향 전환을 하던 중 푹 팬 잔디에 발목이 걸려 넘어지며 통증을 호소했다. 이처럼 선수들은 경기 내내 열악한 잔디 상태로 인해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선수협의 김훈기 사무총장은 “선수협과 선수들도 겨울에는 매서운 한파, 여름에는 무더위와 장마 때문에 잔디 관리가 쉽지 않다는 점은 이해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투자를 통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 J리그 사무국이 추춘제 전환을 위해 100억 엔(약 970억 원) 규모의 지원금을 마련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한국에서도 관계 기관과 협력해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 = 연합뉴스
” 댓글은 큰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