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현, KBO 다년 계약 257억…역대 3번째 초대형 계약 주인공

김광현(36·SSG 랜더스)이 통산 다년 계약 총액 257억원을 기록하며 KBO리그 역대 3위에 올랐다.

SSG는 13일 “김광현과 2년 최대 36억원(연봉 30억원·옵션 6억원) 규모의 비FA 다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계약으로 김광현은 세 차례에 걸친 다년 계약으로 총 257억원을 확보하게 됐다.

김광현은 2007년 SK 와이번스(현 SSG)에 1차 지명으로 입단해 2017년 4년 85억원 FA 계약을 시작으로, 2022년 비FA 계약으로 4년 151억원을 체결한 바 있다. 여기에 이번 2년 연장 계약까지 더해지며 KBO리그 다년 계약 총액 순위 3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는 메이저리그(MLB)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2년간 약 74억원(548만1천481달러)을 수령한 경력도 있다. MLB 수입까지 포함하면 누적 다년 계약 수입은 300억원을 넘어선다.

현재 KBO리그 다년 계약 총액 1위는 김광현의 팀 동료 최정(SSG)이다. 최정은 세 차례 FA 계약으로 총 302억원을 기록 중이다. 2014년 4년 86억원, 2018년 6년 최대 106억원, 지난해 4년 110억원 등 꾸준히 대형 계약을 이끌어냈다.

2위는 두산 베어스 포수 양의지다. 2018년 NC 다이노스와 4년 125억원에 첫 FA 계약을 맺은 뒤, 2022년 두산 복귀 시 6년 152억원 계약을 추가로 체결했다. 양의지의 누적 총액은 277억원이다.

4위는 LG 트윈스 외야수 김현수로, 두 차례 FA 계약으로 총 230억원을 기록했다. 2018년과 2022년 각각 4년 115억원, 6년 115억원 계약을 성공시켰다.

5위는 삼성 라이온즈 포수 강민호다. 롯데 자이언츠 시절 4년 75억원 계약을 시작으로, 삼성 이적 후 4년 80억원과 최근 4년 36억원 계약을 체결하며 총 191억원을 벌었다. 강민호는 이번 시즌 종료 후 다시 FA 자격을 얻게 된다.

은퇴한 이대호(전 롯데 자이언츠)는 KBO리그에서만 다년 계약으로 176억원을 벌었다. 일본과 미국을 포함한 전체 커리어 수입은 훨씬 더 높은 수준이다.

한편 MLB와 KBO에서 모두 활약한 류현진(한화 이글스)은 지난해 KBO 복귀 시 8년 170억원 계약을 체결했다. MLB에서는 약 1,650억원(1억2천138만2천407달러)에 달하는 연봉을 기록하며 한미 리그 간 시장 규모 차이를 다시 한 번 보여줬다.

최근 KBO리그에서는 30대 중반 이후에도 초대형 다년 계약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이번 김광현 계약으로 다년 계약 총액 250억원을 넘긴 선수는 총 3명이 되었고, 이는 리그의 선수 가치 평가와 구단 투자 전략의 변화를 반영하는 모습이다.

사진 = 연합뉴스

” 댓글은 큰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rnrgus184125

Share
Published by
rnrgus184125

Recent Posts

남자들은 모르는 은근 많다는 여자시술

남자들은 모르는 은근 많다는 여자시술

2주 ago

엎드려서 운전하던 하반신 마비 된 남자 13년 후…

엎드려서 운전하던 하반신 마비 된 남자 13년 후...

2주 ago

최근 조여정 ㄷㄷ

최근 조여정 ㄷㄷ

2주 ago

말 그대로 전세계를 씹어 먹고 있는 대한민국의 위상

말 그대로 전세계를 씹어 먹고 있는 대한민국의 위상

2주 ago

2025년 일본 Z세대가 동경하는 아이돌 순위

2025년 일본 Z세대가 동경하는 아이돌 순위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