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구 국가대표 미드필더로 활약한 구자철(35)이 18년간의 프로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며 자신의 축구 인생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으로 2012년 런던올림픽 동메달을 꼽았다. 구자철은 14일 서울 종로구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은퇴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의 과거와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제 구자철은 제주 유소년 어드바이저로서 구단의 미래를 함께 그려가는 역할로 새로운 시작을 다짐하고 있다. 그는 이청용(울산 HD), 기성용(FC서울) 등과 함께 2010년대 한국 축구를 대표하는 선수로 자리 잡았다. 구자철은 연령별 대표팀을 거쳐 아시안컵에 세 차례(2011년, 2015년, 2019년) 출전하고, 월드컵 본선 무대에도 두 차례(2014년, 2018년) 나서며 A매치 76경기에 출전해 19골을 기록했다.
특히 2011년 아시안컵에서는 5골로 대회 득점왕에 오르고,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한국 축구 역사상 첫 메달인 동메달을 따는 데 기여했다. 구자철은 “시상대에 서서 태극기가 올라가는 순간 동메달을 목에 걸고 있었다. 1년 전 한일전 패배의 아픔을 털어낼 수 있었다”고 회상했다.

그는 2007년 제주에서 프로 데뷔 후 2011년 독일 분데스리가 볼프스부르크로 이적하며 유럽 진출에 성공했다. 이후 마인츠, 아우크스부르크, 카타르의 알가라파와 알코르를 거쳐 2022년 제주로 돌아와 선수 생활을 이어왔다. 구자철은 “수년 전부터 현역 은퇴를 고민하고 준비했다”며 “근육, 무릎, 발목이 더 이상 버텨주지 못해 은퇴할 시기가 왔다고 생각했다. 제주에서 은퇴하고 싶었던 꿈을 이룰 수 있어 감사하다”고 말했다.
가장 아쉬운 순간으로는 2014년 브라질 월드컵을 꼽았다. 구자철은 “그때는 너무 어렸던 것 같다. 최연소 주장이라는 타이틀이 있었지만, 개인적으로 자랑스럽지 않다”며 “사회적 책임을 생각하지 못했던 점이 아쉽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그는 “아쉬운 성적을 남기고 죄송한 마음이 있다”고 덧붙였다.
구자철은 “친구 이청용, 기성용보다 먼저 은퇴하게 되어 그들이 ‘고생했다’고 말해줬다. 존경하는 선수들과 함께 뛰어서 영광이었다”고 회상하며 웃었다. 그는 앞으로 A, P급 지도자 자격증을 취득하고 유소년 시스템을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유소년 시스템이 긍정적으로 변했으면 하는 마음이 확고하다”며 “포기하지 않고 최대한 지혜롭게 노력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또한 그는 “좋은 선수를 발굴하고 제주 선수단이 탄탄해지도록 재정적으로도 보탬이 되고 싶다”며 “그것이 유소년 어드바이저로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목표”라고 덧붙였다. 구자철은 “아직 최종 꿈은 마음속에 간직하고 싶다. 구체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은퇴하는 자신에게 해주고 싶은 말을 묻자 구자철은 가족에게 고마움을 전하며 “중학교 2학년 때 형들이 U-20 월드컵에 출전하는 모습을 보며 꿈을 키웠다. 목표를 명확히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해외 진출을 원하는 후배들에게는 “목표를 정하고 미친 듯이 노력하면 몸이 움직이게 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구자철은 “어떤 선수로 기억되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우리나라 축구 선수 최초로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낸 멤버로 기억되면 행복할 것 같다”고 답하며 “긍정적이고 즐거운 이미지로 팬들을 기쁘게 했던 선수로 남고 싶다”고 밝혔다.

사진 = 연합뉴스
” 댓글은 큰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